Recent Posts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oday
Total
관리 메뉴

MoneInSSAFY

[Mone's InSSAights] SSAFY 지원 #1 지원부터 코딩 테스트까지 | 싸피 합격 후기 본문

Journal/SSAFY+cial

[Mone's InSSAights] SSAFY 지원 #1 지원부터 코딩 테스트까지 | 싸피 합격 후기

moneinssafy 2023. 4. 28. 15:29

안녕하세요. SSAFYcial 9기 유연정입니다.
 
해당 글은 두 번의 지원 경험과
16명의 설문 답변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으며,
개인적인 견해가 포함되어 있음을 사전에 밝힙니다.

궁금한 점 댓글 남겨주시면
허락되는 범위 내에서 답변드리겠습니다.
 
선발 과정 및 일정과 같은 중요한 정보는 
SSAFY 공식 홈페이지에서
한 번 더 확인하시길 권장합니다.
 
 
 


🥔 모네의 인싸이트 🌱
Mone's InSSAights
#1 싸피가 뭔데.
그거 어떻게 하는 건데?
 

 

 


 
 
 
 
 

목차
📅 모집 프로세스 및 일정
✏️ 지원서 제출
📝 에세이 작성
     - 어떤 내용을 써야할까요?
     - 작성할 때 꿀팁이 있나요?
💻 SW 적성진단(전공)
     - 코딩 테스트 준비 어떻게 할까요?
     - 코딩 테스트 볼 때도 꿀팁이 있나요?

 
 
 

 
 

📅 모집 프로세스 및 일정


이 글을 보시는 분들은 다들 아실 것 같지만 SSAFY는 삼성의 SW 교육 경험과 고용노동부의 취업 지원 노하우를 바탕으로, SW 교육 뿐 아니라 다양한 취업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월 100 만원의 교육 지원금과 SSAFY 우대 전형 등과 같은 혜택도 있습니다. 그런 SSAFY가 드디어 10기를 모집합니다.
 
 
 
 모집 프로세스 및 공개된 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지원서 접수 : 4월 24일(월) ~ 5월 8일(월) 17:00
2️⃣ 에세이 작성 : 5월 9일(화) ~ 5월 20일(토)
3️⃣ SW 적성진단 : 비전공 - 5월 13일(토)   |   전공 - 5월 21일(일)
4️⃣ 인터뷰 : 추후 안내

* 전체 일정은 내부 사정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지원서 제출


지원할 때 스펙 때문에 고민하시는 분들도 있을 것 같습니다. 저는 학점도 높지 않았고, 어학/자격/경력 등도 모두 빈칸으로 냈습니다. 하지만, 스펙은 전혀 문제가 되지 않았다고 생각합니다. 8기 지원 때도 인터뷰까지 봤었고, 지금은 9기에 선발되어 교육을 듣고 있으니까요.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있는 대로 적으면 될 것 같습니다.
 
 
 
지원서 접수는 정말 간단합니다. SSAFY 공식 홈페이지에 회원 가입 후, 기본 인적 사항(이름, 생년월일, 연락처 등), 학력사항과 같은 정보를 입력하여 제출하면 "지원 완료"입니다.
 참고로 지원서 접수는 PC를 통해서만 가능합니다. 지원하는 과정이 정말 간단하고 시간도 오래 걸리지 않으니 생각날 때(== 지금) 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 에세이 작성


지원은 정말 간단한데, 아직 끝이 아니죠. 에세이 작성과 SW 적성진단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이에 고민이 많으신 분들을 위해 9기 합격자(Java 전공반)들은 어떻게 준비했는지 설문을 받아보았습니다.
 설문 응답을 정리하며 느낀 점은 "정답은 없다"는 것입니다. 단지 무수한 해답이 존재할 뿐! 결국 에세이에서는 확고한 학습 의지를 담는 것이 핵심입니다. 이것을 어떻게 풀어낼지를 정하면 됩니다. 어떤 응답이 있었는지 보고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어떤 내용을 써야할까요? 

 

🧐 모를 땐 인재상부터 보세요

❝ SSAFY의 인재상 키워드인 논리적 사고력, 열정, 학습 의지를 어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SSAFY는 회사가 아니라 교육기관입니다. 작성에 앞서 어떤 사람을 교육하고 싶어 할지에 대해 한 번 생각해 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
(구파발 타코야끼 님)
 
 

😏 저 SSAFY가 하고 싶어요... 필요해요

❝ ... 싸피를 통해 어떤 점을 얻고자 하는지, 그를 이용해 어떻게 관심 직무(분야)에 대한 역량을 발전시킬지를 작성하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
(홍프로 님)

❝ 전공자임에도 싸피가 필요한 이유 어필하기! ❞
(*** 님)

❝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하는 것이 좋은 것 같습니다. 동시에 결과의 성패와 상관없이 노력했던 경험을 강조한다면 더 좋은 에세이가 될 것 같습니다. ❞
(하늘바라군 님)
 
 

🔥 중요한 건 배움에 대한 열정, 꺾이지 않는 학습 의지

❝ 이만큼 잘해요 보다 여기서 뭐 배우고 싶어요! ❞
(역삼역 봉준호 님)

❝ ... 전공 구분 없이 뽑는 만큼 코딩 지식이나 실력은 크게 상관없을 것 같아 교육을 얼마나 잘 따라갈 수 있는지에 집중해서 작성했습니다. ❞
(고구마 님)

❝ 부족함을 느꼈던 프로젝트를 하면서 스스로 얻은 것이 분명하게 있었다는 경험이 어필이 많이 되었던 것 같습니다.  ❞
(이싸피 님)

 

👨‍👩‍👧‍👦 협업 능력도 빠질 수 없어

❝ ...  팀 프로젝트 활동이 많아 사교성을 나타낼 수 있는 내용을 적은 것도 나름 플러스 요인이 되었던 것 같네요. ❞
(양◯◯ 님)

 
 
 
 

 작성할 때 꿀팁이 있나요? 

 
🎙️ 우리 면접 볼 거 잖아요

❝ 면접까지 고려해 예상 질문을 생각하고 전략적으로 작성하세요! 경험을 통해 내가 어떤 사람인지, 그런 나에게 싸피가 왜 필요한지로 연결되게 작성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많은 경험을 적기보다는 강조하고 싶은 이미지를 잘 보여줄 특별한 경험 1~2가지를 적는 것이 좋아요. 너무 많은 경험은 오히려 이미지를 희미해지게 만들 뿐 아니라 면접에서 경험을 검증할 질문에 답변하다가 끝이 날 수도 있습니다. ❞
(새우 님)

❝ ... 에세이를 기반으로 면접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자신이 면접에서 다루고 싶은 아이템을 에세이에 잘 녹이는 것이 좋습니다. 자신의 개발 역량이 뛰어나다는 것을 어필할 아이템도 좋지만 개발에 관심이 많다는 것을 어필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결국 아이템을 선택할 때에는 SSAFY의 Concept와 잘 맞는지, 그것을 잘 드러낼 수 있는지를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
(구기 님)

❝ 싸피 에세이 특성상 글자 수가 비교적 적기 때문에 면접에서 말할 수 있는 강점 위주로 작성하는 것이 좋은 것 같습니다. 추가로 처음부터 글자 수를 맞추어 적지 말고 우선 길게 적어보세요. 다 적은 후 축약해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 
(철테코 님)



👂 한 번에 완성하려 하지 마세요

❝ 일주일 전까지 미리 완성하고, 마감까지 여러 번 읽어보면서 수정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
(박◯◯ 님)

❝ 주변 지인들로부터의 피드백을 받아 수정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취업 준비 경험이 많고, 현직에 있는 지인이 있다면 꼭 보여주세요! ❞ 
(익조 님)

❝ ... 그 당시 하진 않았지만 GPT 첨삭 받기가 도움이 많이 될 것 같습니다. ❞ 
(김이박 님)
 
 
 
 
 

💻 SW 적성진단(전공) 


SW 적성 진단은 지원서 상 선택한 전공 기준으로 구분하여 실시합니다. 비전공자라면 수리/추리 논리력 및 CT 진단을, 전공자라면 기초 코딩 테스트를 응시하게 됩니다.
 
 저와 설문 응답인원 대부분이 전공자이다 보니, 비전공 적성진단에 대한 정보를 얻기 어려웠습니다. 듣기로는 수학이나 공학에서 많이 사용되는 행렬이나, 수열, 확률 기반의 문제를 풀 수 있는 논리적 사고력을 측정하는 등 4년제 대학 졸업자라면 해결할 수 있는 문제로 구성되어 있다고 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에서 "SSAFY에 입학하기 위해 별도의 강좌 수강 없이도 충분히 대비할 수 있습니다."라고 안내하고 있으니, 비전공자 합격 후기를 참고하시어 대비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학원도 있더라고요. 제 생각에는 혼자 준비하셔도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비전공자이시면 여기부터는 넘기셔도 좋습니다😥) 
 
전공자 적성진단은 Python, Java, C/C++ 중 사용 가능한 언어를 선택해 보는 기초 코딩 테스트입니다.
 그렇다면 전공자는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요? 자주 묻는 질문에 따르면, SW 전공 과목을 이수했다면 충분히 해결할 수 있는 문제로 구성되어 있다고 하는데 말하는 감자에게도 해당이 되는 걸까요?
 제 경험을 미루어보아 평소에 코딩 테스트를 준비하지 않았어도 풀 수는 있었습니다. 다 맞춘다는 보장은 없다는 게 약간의 흠이랄까요? 그래서 코딩 테스트를 보지 않았다면 어느 정도 대비는 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자주 묻는 질문의 답변을 참고해 SWEA 사이트에서 D1~D3 문제를 풀어 대비했습니다. 지금 확인해 보니 8기 지원 때는 3일에 걸쳐 24문제, 9기 때는 하루 동안 12 문제를 풀었다고 나와있네요. 이것 말고는 이전에 코딩 테스트를 대비하거나, 알고리즘 공부를 따로 한 적은 없습니다.
 
설문 응답도 살펴볼까요?

9기에 입학한 1150명 중 몇 명이 전공자일지는 모르겠지만 16명은 전체를 대표하기에 터무니 없이 작은 숫자이니 참고만 하세요!

 응답에 따르면 절반 이상이 준비하지 않았습니다. 준비하지 않은 이유에 대한 응답을 보면 기존에 알고리즘 공부를 하셨거나, 기업용 코테를 준비한 경험이 있는 분이 대부분이었습니다. 단지 SSAFY의 코딩테스트를 따로 준비하지 않았을 뿐...
 기존에 코딩 테스트를 준비하셨던 분들은 별다른 준비가 필요할 것 같진 않습니다만 SWEA의 환경이 실제 SSAFY 기초 코딩 테스트의 환경과 제일 유사하니 1~2문제 정도는 풀어보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코딩 테스트 준비 어떻게 할까요? 

 
📚 책, 유튜브 등 콘텐츠 활용형 
책을 통해 공부하며 준비했다고 응답하신 분들이 보셨던 책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파발 타코야끼 님 답변에 따르면, <Do it! 알고리즘 코딩 테스트 자바 편> 의 초반부에 나왔던 알고리즘 관련 문제를 코딩 테스트에서 만나 반가웠다고 합니다. 문제를 어떻게 접근해야 할지조차 어렵다면 책을 보는 것도 방법인 것 같습니다.
 책이 아니더라도 구체적인 채널에 대한 언급은 없었지만, 유튜브를 참고하기도 했다는 언급이 있었습니다. 찾아보면 정말 잘 알려주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본인이 이해하기 쉽도록 가르쳐 주는 채널을 찾는 것도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앞으로도 알고리즘 공부는 계속 하실테니까요!
 
 
 
🧮 문제 풀이 형
 
문제 풀이 형 응답 사이트는 두 개의 파로 나누어졌습니다. 바로 백준과 SWEA입니다. 프로그래머스도 유명하지만 취준의 단계에서 많이 찾게 되는 사이트라 그런지 프로그래머스로 준비했다는 응답이 없었습니다.
 

🔸 풀던대로 백준

알고리즘 문제 입문 시에 대부분 백준을 택하는 것 같습니다. solved.ac를 통해 티어를 올리는 것이 동기부여가 되기도 합니다. 백준에는 단계별로 풀어보기라는 탭이 있는데 이를 풀어보라는 추천도 있었습니다. 개인적으로도 입문할 때 참고하면 좋은 로드맵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위에서 티어에 대해 말했는데 백준에서 solved.ac 티어 보기 설정을 하면 문제에 대해서도 난이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브론즈 범위 내에서만 풀었다는 응답과 실버 문제 내에서만 풀었다는 응답이 있었습니다. 브론즈 1~3, 실버 3~5 정도의 난이도를 푸는 것으로 정리하면 될 것 같습니다.

Baekjoon Online Judge

Baekjoon Online Judge 프로그래밍 문제를 풀고 온라인으로 채점받을 수 있는 곳입니다.

www.acmicpc.net

 

🔹 사무국의 추천대로 SWEA

사무국의 안내하는 추천 연습 문제는 SAMSUNG SW Expert Academy(SWEA)의 D1~ D3 난이도 문제입니다. SWEA의 문제를 풀며 준비했다고 응답한 분들도 이 안내에 충실하게 준비했다고 답변해주었습니다.
 위에서 언급했듯 보게 될 기초 코딩 테스트와 가장 유사한 환경이기 때문에 1~2문제 정도는 무조건 풀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SW Expert Academy

SW 프로그래밍 역량 강화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학습 컨텐츠를 확인하세요!

swexpertacademy.com

 
 
 

 코딩 테스트 볼 때도 꿀팁이 있나요? 

이 질문만큼은 모두가 공통된 응답을 해주셨습니다. 
 

1️⃣ 언어는 자신있는 언어로 선택하기 
그래도 고민되신다면, "파이썬이 쉽고 좋다"는 응답이 있긴 했습니다만 어떤 언어를 선택하든 불이익이 없기에 가장 익숙한 언어를 택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2️⃣ 문제 잘 읽기
지문에 있는 조건을 놓치지 마세요!
 
3️⃣ 끝까지 풀기
어렵게 느껴지더라도 포기하지 마세요!
 
4️⃣ 화이팅!

 
 
 
 
 


 
이 글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좋은 결과 거두시어 인터뷰 준비 편에서 다시 만나요!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