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ent Posts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oday
Total
관리 메뉴

MoneInSSAFY

[MoneInSSAFY] #1 노션으로 필기하는 법 | 필기 템플릿 공유 본문

Journal/SSAFY+cial

[MoneInSSAFY] #1 노션으로 필기하는 법 | 필기 템플릿 공유

moneinssafy 2023. 2. 26. 15:01

안녕하세요. SSAFYcial 9기 유연정입니다.
 
졸업을 하고도 전 말하는 감자 그 자체였습니다.
SSAFY에서 어떤 것들을 배우고 성장했는지
기록하고 공유하고자 이 시리즈를 기획했습니다.
읽으시는 분들께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 전공(감)자 성장기 🌱
MoneInSSAFY
#1 어쩌면 나 노션 잘 쓸지도?
 

 

 


 
 
 
 
 
공식 홈페이지의 속 Notion 하나면 모든 것을 정리할 수 있다! 는 말이 과언이 아닐 만큼 노션은 활용법이 정말 무궁무진한 서비스입니다. 노션 하나만으로 메모, 일정 관리, 문서 작업뿐 아니라 협업까지 모두 가능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이미 노션을 다양하게 사용하고 있고, 포트폴리오도 노션에서 많이 작성합니다.
 그 다양한 활용법 중에 이번 MoneInSSAFY에서는 노션으로 필기하는 법을 공유하려고 합니다. 제가 사용하는 것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템플릿도 공유할 테니 필요한 분들은 사용해 보세요!
 
 
 

목차
🏠 My Notion Space
📚 Notion 필기 페이지 템플릿 공유
✏️ 필기 페이지 꿀팁
🖤 많이 사용하는 단축키와 명령어
🌱 임베드 활용 - 노션에 잔디 심기

 
 
 
 
 

🏠 My Notion Space


노션에 페이지 하나를 만들고 그 아래에 여러 페이지들을 만들어 사용하고 있습니다.
왼쪽은 개인 노션 페이지이고, 오른쪽은 제가 만든 서울 16반 페이지입니다.

 
 
 
 
 

📚 Notion 필기 페이지 템플릿 공유


제가 사용하는 Today I Learned 페이지입니다.
제가 사용하는 것과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작성한 템플릿입니다.
https://lemonade-log.notion.site/Today-I-Learned-ec7455bad9c64b298c8927fc5297dd61
위 링크로 접속해 오른쪽 상단의 복제를 누르고 사용하시면 됩니다.
사용 중 어려운 부분이 있을 경우 댓글 남겨주시면 답변드릴게요.

 
 

💡Tip💡
새로운 페이지를 만들 때 데이터 베이스로 생성하지 않기

 
페이지 추가를 하면 볼 수 있는 화면입니다. 여기서 빈 페이지를 눌러야 합니다.
 

 
만약 여기서 표, 보드, 타임라인, 캘린더 등과 같은 데이터 베이스를 눌러 페이지를 생성한다면 해당 페이지는 일반 페이지로 전환이 되지 않는 것 같습니다. 그 페이지는 다른 블록을 추가할 수 없고 데이터베이스만 보이게 되는 거죠😭
 
따라서, 빈 페이지를 클릭 후 페이지에서 인라인 데이터베이스를 만드는 것이 좋습니다. 그래야 보기도 좋고 사용하기에도 편합니다.
 
 
 
 
 

✏️ 필기 페이지 꿀팁


💡Tip💡
목차 기능과 토글을 같이 사용하기
(템플릿으로 만들어두면 더 편리해져요!)

 
필기 내용을 매번 스크롤 해서 찾기 어려운 분들께 적극 추천하는 팁입니다.
 

T.M.I. 노션을 처음 사용했을 때 스크롤이 길어지는 것이 싫어서 페이지 내에 주제별로 페이지를 만들어 작성하기도 했습니다. 이 방법은 페이지 전환이 많은 것이 오히려 불편하게 느껴질 때가 있었습니다. SSAFY 면접을 준비하면서는 토글을 사용해 주제마다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내용이 짧을 때는 유용할 수 있겠지만 필기 시에는 별로 좋지 않았습니다. 알려드리는 방법은 제가 정착한 방법입니다.

 

우선 페이지를 처음 생성했을 때 /을 입력 후 토글을 만듭니다.

블록의 색상 배경을 원하는 색으로 바꾸어주면 훨씬 보기 좋습니다.
 

 

토글 내부에서 /을 입력 후 목차를 만듭니다. 끝!

 

 
가장 마지막 사진 속 화면처럼 목차 기능을 사용하면 제목을 목차에 자동으로 정리합니다. 제목 2를 하면 1 아래로 들어가고, 3을 하면 2 아래로 목차가 생성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Tip💡
블록 링크를 활용해 원하는 블록으로 바로 이동하기

 
제목이 아니더라도 블록 링크를 이용해 원하는 블록으로 이동할 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동일 페이지가 아니더라도 다른 페이지의 원하는 위치로 바로 가기를 할 수 있습니다.
 
우선 블록 링크를 복사합니다. 블록 링크 복사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Alt+Shift+L을 누르면 커서가 위치한 블록의 링크가 복사됩니다.
  2. 단축키를 외우지 않고 블록을 선택 후 블록 링크 복사를 눌러도 됩니다.

이동하기를 원하는 블록의 텍스트를 드래그해 복사한 링크를 붙여 넣고 블록 링크 이용을 누르면 끝입니다. 당연히 텍스트는 원하는 만큼만 드래그하면 됩니다.
 

 
페이지가 매우 길 경우 가장 아래에서 맨 위로 기능을 만들 때 사용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저는 이 용도보다는 다른 페이지에 비슷한 내용이 있을 때 참고하기 위해 사용하는 편입니다. 
 
 
 

💡Tip💡
작성이 끝난 페이지는 페이지 잠금 하기

 

오른쪽 위 상단에 (메뉴 탭)에서 페이지를 잠그고 잠금 해제 할 수 있습니다.

전 태블릿이나 폰으로 필기를 보기 때문에 보다가  변경되는 일이 없도록 읽기 전엔 잠금을 꼭 합니다.
참고로 메뉴에서는 텍스트 크기를 작게하거나 폰트를 바꿀 수 있는데 저는 기본- 작은 텍스트를 선호합니다.
 
 
 
 
 

🖤 많이 사용하는 단축키와 명령어


물론 /만으로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단축키를 외우지 않아도 됩니다.

하지만 강의 중에 필기하면서 교수님의 말씀을 놓치지 않으려면 단축키는 생명입니다.
 
단축키로 되지 않는 건 명령어가 해결해 줍니다.
명령어는 일부만 입력해도 해당 텍스트가 포함된 명령어들이 검색되어 바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 기억하세요!
 
✔️ 제목 블록

  • # + Space : 제목 1 생성
    • #이 아니라 ##, ### 입력하면 Space를 누르면 제목 2, 3 생성
    • 텍스트 중간에 사용 시 적용 불가
  • /1(기본 블록) 제목 1 : 제목 1 생성
    •  /2, /3  입력하면 제목 2, 3 생성
    • 텍스트 중간에 입력하면 다음 행에 블록이 생성
  • /1(전환) 제목 1 : 해당 블록이 제목 1 으로 전환
    •  /2, /3 은 제목2와 제목 3으로 전환

 
✔️ 열 여러개

  • /2(고급 블록) 2개의 열 : 2단으로 작성
    • 열은 5개의 열까지 가능 - 원하는 숫자 넣으면 되는 거 이제 말안해도 아시죠?

 
✔️ 글자 스타일 변경

  • Ctrl + B : 글자 굵게 적용/취소
  • Ctrl + I : 기울기 적용/취소
  • Ctrl + U : 밑줄 적용/취소
  • Ctrl + Shift + H : 최근에 사용한 색상 적용/취소
  • /색 : 커서가 위치한 블록의 색상 변경

 
✔️ 입력

  • Ctrl + D : 커서가 위치한 블록(또는 선택된 블록)이 다음 블록에 복제
  • Ctrl + Y : 다시 실행
  • Ctrl + Z : 실행 취소

 
✔️ 서식 사용

  • - + Space : 글머리 기호 목록 ( • ⇒ ∘ ⇒ ▪ )
    • - 대신 *, + 로 대체 가능
  • 1. + Space : 번호 매기기 목록 ( 1. ⇒ a. ⇒ i. )
  • > + Space : 토글 목록 = 접었다 펴는 기능
  • [] + Space : 할 일 목록 = 체크 박스 생성
  • " + Space : 인용
  • --- : 구분선 (텍스트 중간에 사용시 적용 안 됨)
  • ``` : 코드 블록 생성
  • `텍스트` : 인라인 코드
    • 텍스트 앞 뒤에 ` 를 하나 붙이면 인라인 코드로 변경
    • 강조 시 사용하기도 함
  • /콜 : 콜아웃
  • /이모 : 이모지
    • :텍스트 : 입력한 텍스트 이모지가 검색되어 사용 가능

 
✔️ 그 외

  • Shift + Enter : 하나의 블록에서 줄바꿈 가능
    • 콜아웃이나 인용 등에서 활용하면 좋음
    • 물론 블록을 드래그해서 안에 넣는 것도 좋지만 문장만 쓴다면 이게 편함
  • Ctrl + [ : 이전 페이지로 이동
  • Ctrl + ] : 다음 페이지로 이동
  • Ctrl + Shift + L : 다크 모드로 전환/해제

 
 
 
 
 

🌱 임베드 활용 - 노션에 잔디 심기


링크 임베드는 필기 중에는 잘 사용하지 않지만 삭막한 노션페이지를 꾸밀 때 잘 사용할 기능입니다. 저는 자주 듣는 플레이리스트와 동기 부여를 위한 깃허브 잔디를 임베드 했습니다. Indify나  Apption 등의 사이트에서 위젯을 넣을 수도 있습니다.
 
노션에서 링크를 삽입하면 3가지 옵션이 나옵니다.

  • 해제= 입력한 텍스트 그대로 링크가 보임
  • 북마크 = 링크 블록 생성
  • 임베드 = 해당 링크에 보이는 그대로 가져올 수 있음

북마크와 임베드의 차이는 오른쪽 사진을 보면 바로 이해되실 겁니다.
 

 
 
이제 노션에 깃허브 잔디를 심어보겠습니다.
 

깃허브 잔디 링크 (아래 링크에 username 부분을 본인의 User name으로 수정해 사용하세요!)
기본 색상 : https://ghchart.rshah.org/219138/username 
색상 custom : https://ghchart.rshah.org/색상코드/username

 
링크 임베드 기능을 활용할 겁니다. 임베드 방법은 2가지가 있습니다.

  1. 링크 붙여 넣고 임베드 생성 클릭
  2. 아래 사진처럼 명령에서 임베드를 누르고 링크 임베드에 링크 넣고 링크 임베드 하기

 

 
 
이제 깃허브 잔디 링크를 임베드만 하면 노션에 깃허브 잔디를 심을 수 있습니다. 아래 사진처럼요!
 

 
저는 노션에 풀었던 알고리즘 문제 리스트를 작성하고 있는데 거기에 잔디를 심어두었습니다.
코드와 풀이 관리를 위해 깃허브를 사용할 예정이기에 삭막한 잔디밭을 잘 가꾸어보겠습니다.
 
 
 
 
 


 
이 글을 보시는 분들 중
아직 노션을 사용하지 않으시는 분이 있다면
노션으로 필기 한 번만 해보세요!
 

Comments